티스토리 뷰
명심보감은 우리 선조들이 전해 내려온 지혜와 교훈을 담은 대표적인 책으로, 삶의 올바른 길을 제시하는 사자성어와 명언들이 가득합니다. 아래는 명심보감에서 영감을 얻은 사자성어와 명언 100개를 정리한 목록입니다.
1. 삶의 올바른 자세를 가르치는 사자성어
- 행복유심(幸福由心): 행복은 마음에서 나온다.
- 수신제가(修身齊家): 몸을 닦고 가정을 다스린다.
- 입신양명(立身揚名): 자신의 이름을 드높이고 세상에 이름을 남긴다.
- 자강불식(自强不息): 스스로 강하게 하며 쉬지 않는다.
-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최선을 다한 뒤 하늘의 뜻을 기다린다.
- 일일신우일일신(日日新又日新): 날마다 새로워지고 또 새로워진다.
- 이신전심(以心傳心): 마음으로 마음을 전하다.
- 유비무환(有備無患): 미리 준비하면 근심이 없다.
- 구사일생(九死一生): 여러 고비를 넘기고 살아남다.
- 정직위상(正直爲上): 정직함이 최선이다.
2. 인간관계를 다스리는 지혜
- 친자효우(親子孝友):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를 다한다.
- 화기애애(和氣靄靄): 화목하고 온화한 분위기.
- 결초보은(結草報恩): 은혜를 잊지 않고 보답한다.
- 선의제인(善意濟人): 선의를 베풀어 남을 돕는다.
- 이심전심(以心傳心): 말 없이도 마음이 서로 통한다.
- 위기지기(爲期之器): 믿음직한 친구.
-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덕을 쌓으면 외롭지 않다.
- 막역지우(莫逆之友): 거스를 일이 없는 진정한 친구.
- 상부상조(相扶相助): 서로 돕고 의지한다.
-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3. 인생의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
- 삼사일언(三思一言): 세 번 생각하고 한 번 말한다.
- 천리길도한걸음(千里之行始於足下):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된다.
- 소탐대실(小貪大失): 작은 것을 탐하다 큰 것을 잃는다.
- 타산지석(他山之石): 다른 산의 돌도 나의 옥을 갈 수 있다.
-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를 불쌍히 여긴다.
- 견리사의(見利思義): 이익을 보면 의를 생각한다.
- 물실호기(勿失好機):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라.
- 인과응보(因果應報): 원인과 결과에 따라 반드시 응보가 있다.
- 불망초심(不忘初心): 처음 가졌던 마음을 잊지 않는다.
- 호연지기(浩然之氣): 넓고 큰 도량과 올바른 기개.
4. 학문과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자성어
-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 아래서 이루는 노력의 결실.
- 수불석권(手不釋卷):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
- 독서삼도(讀書三到): 독서에는 세 가지 도리가 있다.
- 일취월장(日就月將): 날마다 나아지고 달마다 성장한다.
- 입지불굴(立志不屈): 뜻을 세우고 굽히지 않는다.
- 차일피일(此日彼日):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않는다.
- 공전절후(空前絶後): 앞에도 없고 뒤에도 없다.
- 천재일우(千載一遇): 천 년에 한 번 만나는 기회.
- 불광불급(不狂不及): 미치지 않으면 이룰 수 없다.
- 도약천리(道若千里): 학문의 길은 천 리와도 같다.
5. 자기 성찰과 내면의 강화를 위한 사자성어
- 불언비행(不言飛行): 말이 없으나 행동은 빠르다.
- 이기지신(以己治身): 자신을 다스리는 데 힘쓴다.
- 지족불욕(知足不辱): 만족을 알면 욕되지 않는다.
- 점입가경(漸入佳境): 점점 더 나은 경지로 들어간다.
- 청렴결백(淸廉潔白): 마음이 맑고 행실이 깨끗하다.
- 자승자박(自繩自縛): 스스로 자신을 옭아매다.
- 경거망동(輕擧妄動): 경솔하게 행동하지 않는다.
- 우공이산(愚公移山): 꾸준히 노력하면 큰일도 이룰 수 있다.
- 지피지기(知彼知己):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다.
- 선견지명(先見之明): 앞을 내다보는 밝은 지혜.
6. 도덕과 윤리를 중시하는 사자성어
- 신상필벌(信賞必罰): 상과 벌을 믿음직하게 한다.
- 충효사상(忠孝思想): 충성과 효도를 중시한다.
- 이타정신(利他精神): 남을 이롭게 하는 정신.
- 명명백백(明明白白): 모든 것이 명백하고 분명하다.
- 정심수도(正心修道): 마음을 바르게 하고 도를 닦는다.
- 의리존중(義理尊重): 의리를 중요하게 여긴다.
- 공평무사(公平無私): 공평하고 사심이 없다.
- 불위유지(不爲有志): 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다.
- 성인군자(聖人君子): 도덕적 완성을 이룬 사람.
- 계명구도(鷄鳴狗盜): 작은 지혜로도 큰일을 이룰 수 있다.
7. 삶의 균형과 평화를 위한 사자성어
- 중용지도(中庸之道): 치우치지 않고 중도를 걷는 삶.
- 강구개화(康衢皆和): 온 나라가 화목한 분위기.
- 화광동진(和光同塵): 빛을 감추고 세상과 조화를 이룬다.
- 애인여기(愛人如己): 남을 나처럼 사랑하라.
- 진중처사(鎭重處事): 매사에 신중히 행동하다.
- 안분지족(安分知足): 제 분수를 지키고 만족을 알다.
- 휴휴평강(休休平康): 쉬고 쉬어 마음이 평안하다.
- 상선약수(上善若水):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 무위자연(無爲自然):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 그대로 살아간다.
- 시비지심(是非之心):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
8. 지혜와 깨달음을 주는 사자성어
- 불치하문(不恥下問):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 청출어람(靑出於藍): 제자가 스승을 능가한다.
- 사필귀정(事必歸正): 모든 일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간다.
- 온고지신(溫故知新): 옛 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배운다.
- 각자도생(各自圖生): 각자 자신의 길을 모색하며 살아간다.
- 백전백승(百戰百勝): 백 번 싸워도 백 번 이긴다.
- 문일지십(聞一知十): 하나를 듣고 열을 안다.
- 고진감래(苦盡甘來):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온다.
- 계고양면(繼故養面): 과거의 경험을 이어받아 발전시키다.
- 이제동심(異體同心): 몸은 달라도 마음은 하나다.
9. 도전과 극복의 의미를 담은 사자성어
- 역경불굴(逆境不屈): 역경에 굴하지 않는다.
- 타이부대(他以不怠): 남과 비교하지 않고 자신에게 충실하다.
- 지성감천(至誠感天): 지극한 정성은 하늘도 감동시킨다.
- 용의주도(用意周到): 생각과 준비가 매우 철저하다.
- 불요불굴(不撓不屈): 꺾이지 않고 굽히지 않는다.
- 초지일관(初志一貫): 처음 품었던 뜻을 끝까지 관철하다.
- 설상가상(雪上加霜): 불행이 연달아 닥친다.
- 수구초심(首丘初心): 근본을 잊지 않고 초심을 지킨다.
- 유종지미(有終之美): 끝을 아름답게 맺는다.
- 불요불우(不撓不憂): 흔들리지 않고 걱정하지 않는다.
10. 도덕과 이상적인 사회를 위한 사자성어
- 덕재인사(德在人事): 덕은 사람과 일 속에 있다.
- 인의예지(仁義禮智): 어짊, 의로움, 예의, 지혜를 갖추다.
- 백락일고(伯樂一顧): 참된 인재를 알아보는 안목.
- 삼강오륜(三綱五倫): 인간관계의 기본 원리.
- 권선징악(勸善懲惡): 선을 권하고 악을 징벌하다.
- 무불통지(無不通知): 무엇이든 막힘없이 통한다.
- 수인사대천명(修人事待天命): 인간으로서 할 일을 다하고 하늘의 뜻을 기다린다.
- 인정존중(人情尊重): 사람의 정을 존중하다.
- 이인동심(二人同心): 두 사람이 한 마음을 이루다.
- 평화지향(平和志向): 평화를 지향하며 살아간다.
11. 삶의 지혜와 실천을 강조하는 사자성어
- 이열치열(以熱治熱): 열로 열을 다스리다.
- 양약고구(良藥苦口): 좋은 약은 입에 쓰다.
-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것이 낫다.
- 심사숙고(深思熟考): 깊이 생각하고 신중히 고민하다.
- 이도동기(異途同歸): 다른 길로 가도 목적지는 같다.
- 약팽소선(若烹小鮮): 작은 물고기를 요리하듯 조심스럽게 일을 처리하다.
- 적소성대(積小成大): 작은 것을 쌓아 큰 것을 이루다.
- 가담항설(街談巷說): 길거리에서 떠도는 소문.
- 자포자기(自暴自棄): 스스로를 포기하고 내팽개친다.
- 권불십년(權不十年): 권력은 십 년을 가지 못한다.
12. 도덕적 삶을 위한 사자성어
- 선행후언(先行後言): 먼저 행동하고 나중에 말하다.
- 약육강식(弱肉強食): 약한 자는 강한 자에게 먹힌다.
- 견리망의(見利忘義):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는다.
- 치인무기(治人無己): 남을 다스리되 나를 잊는다.
- 오리무중(五里霧中): 방향을 알 수 없는 혼란스러운 상태.
- 대의멸친(大義滅親): 대의를 위해서는 친족도 저버릴 수 있다.
- 순망치한(脣亡齒寒):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 여민동락(與民同樂): 백성과 더불어 즐거움을 나눈다.
- 정명사명(正名事名): 이름을 바르게 하여 일을 바르게 한다.
- 권선징악(勸善懲惡): 선을 권하고 악을 징벌하다.
13. 도전과 극복의 교훈을 담은 사자성어
- 십벌지목(十伐之木):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는 없다.
- 백절불굴(百折不屈): 백 번 꺾여도 굴하지 않는다.
- 역지사지(易地思之): 입장을 바꾸어 생각하다.
- 불요불굴(不撓不屈): 흔들리지 않고 굽히지 않는다.
- 설상가상(雪上加霜): 어려운 일이 연달아 닥치다.
- 지성감천(至誠感天): 지극한 정성은 하늘을 감동시킨다.
- 한우충동(汗牛充棟): 책이 매우 많다.
- 전심전력(全心全力): 온 마음과 힘을 다하다.
- 어려운 일에도 굳세게 서다(堅忍不拔): 결코 흔들리지 않다.
-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날마다 새로워지다.
14. 사회적 조화를 이루기 위한 사자성어
- 동고동락(同苦同樂): 함께 고생하고 함께 즐기다.
- 명실상부(名實相符): 이름과 실질이 서로 맞다.
- 정문일침(頂門一針): 따끔한 충고를 하다.
- 화룡점정(畫龍點睛): 용을 그린 뒤 눈동자를 찍다.
- 도원결의(桃園結義): 의리를 위해 맺은 약속.
- 삼강오륜(三綱五倫): 인간관계의 기본 원리.
- 오합지졸(烏合之卒): 질서 없이 모인 무리.
- 좌정관천(坐井觀天): 우물 안 개구리.
- 양두구육(羊頭狗肉): 겉과 속이 다르다.
- 이심전심(以心傳心):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다.
15. 삶의 성찰과 내면의 성장
- 불문곡직(不問曲直):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다.
- 비례물시(非禮勿視): 예가 아니면 보지 않는다.
- 외유내강(外柔內剛): 겉은 부드럽고 속은 강하다.
- 이여반장(易如反掌): 매우 쉬운 일.
-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사람으로서 할 일을 다하고 하늘의 뜻을 기다린다.
- 견마지로(犬馬之勞): 개나 말처럼 충성을 다하다.
- 수신제가(修身齊家): 자신을 수양하고 가정을 다스린다.
- 한단지몽(邯鄲之夢): 덧없는 인생의 허무함.
- 적토성산(積土成山): 흙을 쌓아 산을 만든다.
- 문일지십(聞一知十): 하나를 들으면 열을 깨닫는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서울구치소 1인실 평면도
- 의왕구치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시험 #최태성 #한국사자격증 #역사공부 #공무원시험 #교원임용시험 #한국사준비 #역사능력검정 #국사편찬위원회
- 명심보감 #사자성어 #삶의지혜 #인생명언 #고전에서배우기 #성공명언 #자기계발 #동양철학 #지혜로운삶 #사자성어뜻
- 웹사이트
- 조대현변호사 #헌법재판관 #윤석열변호인단 #법조계인물 #조대현프로필 #헌법판결 #노무현인연 #탄핵심판 #법률전문가 #헌법재판소
- 서울구치소 #윤석열체포 #윤석열구금 #정치이슈 #법치주의 #체포영장 #구속수사 #정치논란 #법적공방 #사법정의
- 제주공항 #항공기결항 #제주여행 #제주공항상황 #항공정보 #기상악화 #항공편결항 #여행팁 #실시간항공정보 #제주날씨
- 애드센스
- 애슐리퀸즈 #애슐리할인 #뷔페맛집 #패밀리레스토랑 #애슐리퀸즈이벤트 #애슐리캐시 #문화상품권활용 #외식꿀팁 #애슐리네이버예약 #가성비외식
- 윤석열 독방 평면도
- 블로그
- 구글
- #구속적부심 #법적권리 #형사소송법 #인권보호 #법치주의 #사법제도 #구속영장 #피의자권리 #법적절차 #공정한재판
- 모텔캘리포니아 #mbc금토드라마 #로맨스드라마 #첫사랑스토리 #드라마줄거리 #심윤서원작 #웹소설원작드라마 #이세영나인우 #시골모텔드라마 #감동드라마추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